안녕하십니까! 주식 디바 증권입니다. 오늘은 주식의 주가는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가격 결정
앞선 가치투자에 대한 사례에서 보듯이 투자 철학을 이야기할 때 ‘가치투자’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가치란 본질가치를 말합니다. 이 기업의 ‘본질가치’ 혹은 ‘내재가치’를 경제학에서 말하는 ‘균형 가격’, 경영학에서 말하는 ‘시장가치’와 비교 매매하게 됩니다. 시장을 바라보는 투자 포인트는 다양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투자철학을
오랜동안 지키며 소신 있게 투자해왔다는 점입니다. 전쟁터 같은 주식시장에서 쉽지 않은 경우입니다. 한국투자 밸류자산운용 부사장은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투자자라면 지수를 절대 예측해선 안 된다"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지수를 예측하는 순간 투자자는 투기꾼으로 변모한다"며 "지수를 보지 말고 개별 주식 펀더멘털과 시장 가격을 비교해 저평가된 종목을 사는 것이 가치투자의 핵심"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부사장은 가치주를 결정하는 3가지 요소로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을 꼽았습니다. 성장가치는 산업과 사업 전망 등 미래에 관한 것이고 수익은 현재 돈을 얼마나 버느냐에 관한 것, 안정성은 과거 영업활동으로 쌓인 자산 가치를 뜻합니다. 그는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을 모두 감안한 기업 내재가치에 비해 시장 가격이 저평가되어 있다면 그 주식을 사야 할 때"라고 설명합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 본질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봅니다.
투자자들은 주식의 가치를 개인이 취득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르게 판단하며 동일한 주식과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투자자에 따라 다르게 판단을 하기 때문에 거래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자의 가치판단에 따라 적정가치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떤 투자자는 특정 주식을 싸다고 생각하여 매수하고, 반대편의 다른 투자자는 비싸다고 생각하여 매도하는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익이 무엇이며, 그러한 이익을 어떻게 평가하여 적정 가격을 산정하는지 학습하도록 합니다. 투자자들이 주식에 투자하면서 두 가지 이익을 기대합니다.
투자자들의 기대 이익
매매차익 : 주식가격이 상승하면 이를 되팔아 얻게 되는 시세차익(자본이득)
배당소득 : 기업이 영업성과를 결산하여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주는 배당이득
시장에서 주식의 가격이 각각 다른 것은 바로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S전자와 같이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배당소득과 자본이득)을 주는 주식은 주당 100만 원이 넘는 가격을 보이지만, 코스닥시장에서는 주당 가격이 동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시장에서 높은 이익이 기대될수록 인기가 많아져 주가는 오르게 될 것이며, 비관적인 전망이 지배하면 주가는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주식의 진정한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우리가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미래 보유기간 동안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를 산정하여 해당 수익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전환 모두 더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주식의 가격을 평가하는 것은 채권을 평가하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채권의 경우는 보유기간 동안 이자수익이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어서 미래의 수익금액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또한 할인 시 보통 시장수익률을 할인율로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기가 어려운 두 가지 주요 요소가 있습니다.
미래 수익의 불확실성
적정한 할인율의 불확실성
현실적으로 내일의 일도 알지 못하는데 분기, 연말, 내년, 10년 후 배당을 어찌 예측할수 있겠는가? 예를 들어 하이닉스 중국 반도체 공장에 화재가 발생하여 공장 가동이 중단되었습니다. 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 당일만 주가가 하락하였고 익일부터 해당 주식은 주가가 오히려 더 상승하게 됩니다. 반도체와 같은 정교한 첨단 산업은 화재로 인한 단순 가동 중단에도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는데 오히려 주가가 올라 버린 상황이 발생합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일본과 대만 기업이 탈락하면서 준독점화된 시장에서 그 원인이 있습니다. 즉 하이닉스 공장의 화재로 인한 칩 공급 감소 우려로 현물시장에서 칩 가격은 급등하였고 하이닉스의 재고자산 평가는 함께 상승하며, 화재로 인한 손실은 상당 부분을 보 험을 통해 보전받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미래의 메모리칩 가격의 상승 예상이 주가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할인율에 대한 부분도 살펴봅시다. 시장이자율도 매일 변하는데 이 적정 할인율을 찾는 것도 역시나 너무나도 어려운 일입니다. 어떤 투자자는 하이닉스 공장의 화재에 대해 위험 가중치를 높여 할인율을 높이게 되었다면 주식의 매도로 대응을 했을 것이고, 다른 어떤 투자자는 오히려 칩 가격의 상승에 무게를 두고 하이닉스의 수익력을 긍정적이라 보면서 할인율을 낮게 가져가 매수로 대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주식마다, 투자자마다, 상황이 변 할 때마다 할인율이 달라집니다. 이렇게 여러 사실과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가를 결정하기 때문에 어떤 마법의 공식 하나로 적정주가를 산정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따라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가정이 필요하고, 서로 다른 가정에 따라 평가모형도 달라지게 된다. 주식 평가모형은 미래의 현금흐름을 배당으로 파악하느냐 이익으로 파악하느냐에 따라 배당 평가모형과 이익 평가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모형은 서로 다른 현금흐름을 할인하는 것이어서 그 할인율도 차이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식의 가격을 책정할 때 현금흐름을 배당으로 설정하든지 이익으로 설정하든지 어느 것 을 하든 똑같은 가격이 나와야 하므로 각각의 현금흐름을 할인하는 할인율은 당연히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일단은 논리적으로 합당한 공식을 찾기 위해 이론적으로 가정을 미리 정하게 됩니다. 그러고 나서 현실에서 가정을 완화해가면서 적용하면 될 것이다. 첫째로 배당금과 미래의 주식 가격을 알 수 있어서 미래 기대현금흐름을 확실히 알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주식의 적정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주식 공부하시고 성공적인 투자 합시다.!
'주식 디바 증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디바 증권 - ETF 투자시 절세 하는 방법! (0) | 2020.07.28 |
---|---|
주식 디바 증권 - ETF 유형별 과세 알아보기! (0) | 2020.07.28 |
주식 디바 증권 - 투자 설계 PLAN(+DO, SEE) (0) | 2020.07.27 |
주식 디바 증권 - 지금은 투자의 시대! (0) | 2020.07.25 |
주식 디바 증권 - 합리적 금융 상품 투자 방법! (0) | 2020.07.24 |
댓글